Direct measurement of anterior corneal curvature changes attributable to epithelial removal in keratoconus
대전 민들레 안과와 알아보는 안과 질환
오늘은 원추각막에서 대해 발표된 논문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J Cataract Refract Surg 2018; 44:71–77
꽤 유명한 저널이고요.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각막에는 상피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의 두께는 48마이크로에서 53마이크로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 상피라는 부분은 각막의 부의 별로 비대칭적이어서 아래쪽 코 쪽으로 더 두껍습니다.
이 상피의 두께의 차이는 the total corneal power라는 수치에 영향을 미치죠..^^
대략 중심부 2.0밀리미터의 범위에서 1.03 디옵터의 굴절률을 보입니다. 여기까지가 정상 평균이고,
이에 반해 원추각막에서는 cone이라 불리는 부위의 각막 상피는 얇고 주변부는 두 떠오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따라서 꽤 각막 상피의 분석이 원추각막의 진단에서 최근 좋은 민감도를 보였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이연구에서는 원추각막에서 제가 좋아하는 올 레이저 라섹(transepithelial photorefractive keratectomy (PRK)) 과 아베드로 각 막강 화술(corneal crosslinking (CXL))을 하기 전후 Galilei G2라는 각막지형도 기계로 각막의 변화를 보는 연구입니다.
the CXL procedure – dextran-free riboflavin 0.1% with hydroxylpropyl methylcellulose (Vibex Rapid, Avedro, Inc.), with 10 minutes of corneal soaking. Corneal crosslinking was performed using an ultraviolet-A (UVA) source system (KXL, Avedro, Inc.) with 4 minutes of continuous UVA exposure at 30 mW/cm2 and an energy dose of 5.2 J/cm2.
Corneal dioptric power in the flattest and steepest meridian of the 3.0 mm central zone.
Maximum K power on the anterior axial or anterior instantaneous curvature map.
Corneal astigmatism in the 3.0 mm central zone (toricity).
Asphericity in the 8.0 mm diameter central zone aligned to the first Purkinje q=-exe.
Pachymetry at the central (0.0 to 4.0 mm), midperipheral (4.0 to 7.0 mm), peripheral (7.0 to 10.0 mm), and thinnest points of the cornea.
Total cornea power calculated using ray tracing from a zone of 1.0 to 4.0 mm.
Spherical aberration in the 6.0 mm diameter central zone aligned to the pupil
The corneal epithelium in keratoconic eyes shows a localized thinning over the cone surrounded by an annulus of
epithelial thickening.
Results indicate that the corneal epithelium plays an important masking role in the anterior curvature variables of
the cornea and smooths the underlying Bowman layer irregularities. In keratoconic patients having CXL, epithelial
debrid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agnitude of anterior corneal keratometry, astigmatism, and prolateness.
나의 생각 :
글쎄 최근 기계들은 각막 상피를 직접 찍는다 이렇게 추정해서 연구했을 필요가 있을까
물론 보만 층위 불 균질성을 상피가 보정해줄 수 있다는 이론은 나름 의미가 있다 생각한다.
연구하는 병원!! 앞서가는 대전 민들레안과에서…
진료시간
평일 | 9:00 – 18:30 |
토요일 | 9:00 – 13:00 |
일요일/공휴일 | 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