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녹내장 연구는 다양한 새로운 치료법과 기전들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첫째, 유전자 치료는 바이러스 벡터와 siRNA를 사용하여 안압을 조절하고, 수술 후 섬유화를 줄이며, 망막 신경절 세포(RGC)의 생존을 증가시키는 데 유망한 결과를 보였습니다.[1]

둘째, 줄기세포 치료는 섬유주 세포를 대체하거나 증식을 자극하여 유출 기능을 회복시키고, RGC로 분화하거나 성장 인자를 분비하여 신경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1]

셋째, 신경 보호 전략으로는 니코틴아미드, NT-501 임플란트(섬모 신경 영양 인자 분비), Fas-L 억제제 등이 임상 시험 중에 있습니다.[1-2]

넷째, 혈관 치료는 Rho 키나제 억제제와 드로나비놀을 사용하여 안구 혈류를 증가시키는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1]

마지막으로, 생활 습관 요인도 녹내장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산소 운동은 신경 보호와 질병 진행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니코틴아미드 보충제는 단기 시각 기능 개선과 관련이 있습니다.[3]

이러한 연구들은 녹내장 치료의 다각적인 접근법을 제시하며, 추가적인 임상 시험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1. Future Directions of Glaucoma Treatment: Emerging Gene, Neuroprotection, Nanomedicine, Stem Cell, and Vascular Therapies.

Ciociola EC, Fernandez E, Kaufmann M, Klifto MR.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4;35(2):89-96. doi:10.1097/ICU.0000000000001016.

2 .Advances in Neuroprotection in Glaucoma: Pharmacological Strategies and Emerging Technologies.

Wang LH, Huang CH, Lin IC.

Pharmaceuticals (Basel, Switzerland). 2024;17(10):1261. doi:10.3390/ph17101261.

New Research

3. From Bench to Behaviour: The Role of Lifestyle Factors on Intraocular Pressure, Neuroprotection, and Disease Progression in Glaucoma.

Kumar A, Ou Y.

Clinical & Experimental Ophthalmology. 2023 May-Jun;51(4):380-394. doi:10.1111/ceo.14218.

최근 녹내장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전자 치료: 바이러스 벡터와 siRNA를 사용하여 안압을 조절하고, 수술 후 섬유화를 줄이며, 망막 신경절 세포(RGC)의 생존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1]

줄기세포 치료: 섬유주 세포를 대체하거나 증식을 자극하여 유출 기능을 회복시키고, RGC로 분화하거나 성장 인자를 분비하여 신경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1]

신경 보호 전략: 니코틴아미드, NT-501 임플란트(섬모 신경 영양 인자 분비), Fas-L 억제제 등이 임상 시험 중에 있습니다.[1-2]

혈관 치료: Rho 키나제 억제제와 드로나비놀을 사용하여 안구 혈류를 증가시키는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1]

신약 및 약물 전달 시스템: 최근 FDA 승인된 비마토프로스트 임플란트, 트라보프로스트 임플란트, 직접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DSLT), 안압 조절 펌프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안압을 낮추고 환자의 약물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3]

미세침습 녹내장 수술(MIGS): iStent, Hydrus, XEN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며, 기존의 섬유주 유출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유출 경로를 생성합니다.[4]

이러한 치료법들은 녹내장 관리에 있어 다각적인 접근법을 제공하며, 추가적인 임상 시험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1. Future Directions of Glaucoma Treatment: Emerging Gene, Neuroprotection, Nanomedicine, Stem Cell, and Vascular Therapies.

Ciociola EC, Fernandez E, Kaufmann M, Klifto MR.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4;35(2):89-96. doi:10.1097/ICU.0000000000001016.

2. Advances in Neuroprotection in Glaucoma: Pharmacological Strategies and Emerging Technologies.

Wang LH, Huang CH, Lin IC.

Pharmaceuticals (Basel, Switzerland). 2024;17(10):1261. doi:10.3390/ph17101261.

New Research

3. New Treatments for Glaucoma.

Mai AP, Ferguson TJ, Radcliffe N.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5;36(2):135-139. doi:10.1097/ICU.0000000000001110.

New Research

4. The Surgical Management of Glaucoma: A Review.

Lim R.

Clinical & Experimental Ophthalmology. 2022;50(2):213-231. doi:10.1111/ceo.14028.

최근 연구된 녹내장 치료법의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전자 치료: 유전자 치료는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면역 및 염증 반응이 주요 부작용으로 보고되었습니다. 특히, 경로에 따라 염증 반응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심각한 염증 반응은 시력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1-2]

줄기세포 치료: 줄기세포 치료는 면역 반응, 종양 발생 가능성, 그리고 이식된 세포의 장기적인 생존 및 통합 문제를 포함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3-4]

신경 보호 전략: 니코틴아미드, NT-501 임플란트, Fas-L 억제제와 같은 신경 보호제는 아직 임상 시험 중에 있으며, 부작용에 대한 데이터는 제한적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신경 보호제는 약물 특유의 부작용을 가질 수 있습니다.[5-6]

혈관 치료: Rho 키나제 억제제와 드로나비놀은 혈관 확장 및 혈류 증가를 목표로 하지만, 저혈압, 두통, 그리고 심혈관계 부작용이 보고될 수 있습니다.[5][7]

신약 및 약물 전달 시스템: 비마토프로스트 임플란트와 트라보프로스트 임플란트는 국소 자극, 염증, 그리고 드물게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지속 방출 시스템은 약물의 장기적인 효과와 관련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지만, 삽입 부위의 자극이나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8-10]

미세침습 녹내장 수술(MIGS): MIGS는 일반적으로 안전하지만, 일시적인 출혈, 안압 상승, 장치의 위치 이상 및 막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시력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11-12]

이러한 부작용들은 각 치료법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임상 시험을 통해 추가적인 안전성 및 효능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1. Ocular Gene Therapy: A Literature Review With Special Focus on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Ghoraba HH, Akhavanrezayat A, Karaca I, et al.

Clinical Ophthalmology (Auckland, N.Z.). 2022;16:1753-1771. doi:10.2147/OPTH.S364200.

2. Immune Responses to Retinal Gene Therapy Using Adeno-Associated Viral Vectors – Implications for Treatment Success and Safety.

Bucher K, Rodríguez-Bocanegra E, Dauletbekov D, Fischer MD.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2021;83:100915. doi:10.1016/j.preteyeres.2020.100915.

Leading Journal

3. The Future of Stem Cells and Their Derivates in the Treatment of Glaucoma. A Critical Point of View.

Nicoară SD, Brie I, Jurj A, Sorițău O.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1;22(20):11077. doi:10.3390/ijms222011077.

4. A Novel Glaucoma Approach: Stem Cell Regeneration of the Trabecular Meshwork.

Coulon SJ, Schuman JS, Du Y, et al.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2022;90:101063. doi:10.1016/j.preteyeres.2022.101063.

Leading Journal

5. Future Directions of Glaucoma Treatment: Emerging Gene, Neuroprotection, Nanomedicine, Stem Cell, and Vascular Therapies.

Ciociola EC, Fernandez E, Kaufmann M, Klifto MR.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4;35(2):89-96. doi:10.1097/ICU.0000000000001016.

6. Advances in Neuroprotection in Glaucoma: Pharmacological Strategies and Emerging Technologies.

Wang LH, Huang CH, Lin IC.

Pharmaceuticals (Basel, Switzerland). 2024;17(10):1261. doi:10.3390/ph17101261.

New Research

7. Therapeutic Strategies for Glaucoma and Optic Neuropathies.

Lo J, Mehta K, Dhillon A, et al.

Molecular Aspects of Medicine. 2023;94:101219. doi:10.1016/j.mam.2023.101219.

Leading Journal

8. New Treatments for Glaucoma.

Mai AP, Ferguson TJ, Radcliffe N.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5;36(2):135-139. doi:10.1097/ICU.0000000000001110.

New Research

9. Drug Delivery Systems for Glaucoma: A Narrative Review.

Fea AM, Vallino V, Cossu M, et al.

Pharmaceuticals (Basel, Switzerland). 2024;17(9):1163. doi:10.3390/ph17091163.

New Research

10. Extraocular, Periocular, and Intraocular Routes for Sustained Drug Delivery for Glaucoma.

Kompella UB, Hartman RR, Patil MA.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2021;82:100901. doi:10.1016/j.preteyeres.2020.100901.

Leading Journal

11. Safety Profile of Minimally Invasive Glaucoma Surgery.

Vinod K, Gedde SJ.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1;32(2):160-168. doi:10.1097/ICU.0000000000000731.

12. Minimally Invasive Glaucoma Surgery: Safety of Individual Devices.

Rowson AC, Hogarty DT, Maher D, Liu L.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22;11(22):6833. doi:10.3390/jcm11226833.

녹내장 치료를 위한 신경 보호 전략과 혈관 치료의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경 보호 전략:

니코틴아미드: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고용량에서는 위장 장애와 간 기능 이상이 보고될 수 있습니다.[1]

NT-501 임플란트: 섬모 신경 영양 인자를 분비하는 이 임플란트는 염증 반응과 이식 부위의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

Fas-L 억제제: 면역 반응과 관련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장기적인 안전성 데이터가 부족합니다.[1]

브리모니딘: 알레르기 결막염, 구강 건조, 저혈압, 두통, 피로, 졸음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습니다.[2-3]

혈관 치료:

Rho 키나제 억제제 (예: 네타르수딜): 결막 충혈, 각막 혼탁, 점안 부위 통증, 결막 출혈, 각막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4-5]

드로나비놀: 혈관 확장 및 혈류 증가를 목표로 하지만, 저혈압, 두통, 심혈관계 부작용이 보고될 수 있습니다.[1]

이러한 부작용들은 각 치료법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임상 시험을 통해 추가적인 안전성 및 효능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1. Future Directions of Glaucoma Treatment: Emerging Gene, Neuroprotection, Nanomedicine, Stem Cell, and Vascular Therapies.

Ciociola EC, Fernandez E, Kaufmann M, Klifto MR.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4;35(2):89-96. doi:10.1097/ICU.0000000000001016.

2. Neuroprotection for Treatment of Glaucoma in Adults.

Sena DF, Lindsley K.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1:CD006539. doi:10.1002/14651858.CD006539.pub4.

3. Advances in Neuroprotection in Glaucoma: Pharmacological Strategies and Emerging Technologies.

Wang LH, Huang CH, Lin IC.

Pharmaceuticals (Basel, Switzerland). 2024;17(10):1261. doi:10.3390/ph17101261.

New Research

4. Primary Open-Angle Glaucoma Suspect Preferred Practice Pattern®.

Gedde SJ, Lind JT, Wright MM, et al.

Ophthalmology. 2021;128(1):P151-P192. doi:10.1016/j.ophtha.2020.10.023.

5. Primary Open-Angle Glaucoma Preferred Practice Pattern®.

Gedde SJ, Vinod K, Wright MM, et al.

Ophthalmology. 2021;128(1):P71-P150. doi:10.1016/j.ophtha.2020.10.022.

레이저 치료는 녹내장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레이저 치료법으로는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과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성형술(Argon Laser Trabeculoplasty, ALT)이 있습니다.

효과:

SLT는 안압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며, 약물 치료와 유사한 수준의 안압 감소를 보입니다. SLT는 약물 치료에 비해 비용 효과적이며, 장기적으로 약물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1-2]

ALT는 초기 치료에서 75% 이상의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안압 감소를 보입니다. 그러나 반복 ALT의 경우 장기적인 성공률이 낮고, 합병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2]

부작용:

SLT: SLT는 일반적으로 안전하지만, 일시적인 안압 상승, 결막 충혈, 경미한 염증 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부작용은 드물게 발생합니다.[1][3-4]

ALT: ALT는 SLT에 비해 더 많은 부작용이 보고되며, 주변 전방 유착(peripheral anterior synechiae, PAS), 일시적인 안압 상승, 염증 반응 등이 포함됩니다.[5-6]

결론적으로, SLT는 녹내장 치료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옵션으로, 특히 약물 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비용 효과적입니다. ALT는 여전히 유효한 치료법이지만, 부작용 발생률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1. Laser in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LiGHT) Trial: Six-Year Results of Primary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Versus Eye Drops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Gazzard G, Konstantakopoulou E, Garway-Heath D, et al.

Ophthalmology. 2023;130(2):139-151. doi:10.1016/j.ophtha.2022.09.009.

2. Primary Open-Angle Glaucoma Preferred Practice Pattern®.

Gedde SJ, Vinod K, Wright MM, et al.

Ophthalmology. 2021;128(1):P71-P150. doi:10.1016/j.ophtha.2020.10.022.

3.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icacy of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in Open-Angle Glaucoma.

Wong MO, Lee JW, Choy BN, Chan JC, Lai JS.

Survey of Ophthalmology. 2015 Jan-Feb;60(1):36-50. doi:10.1016/j.survophthal.2014.06.006.

4. Adverse Effects and Short-Term Results After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Klamann MK, Maier AK, Gonnermann J, Ruokonen PC.

Journal of Glaucoma. 2014;23(2):105-8. doi:10.1097/IJG.0b013e3182684fd1.

5. Laser Trabeculoplasty for Open-Angle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Rolim-de-Moura CR, Paranhos A, Loutfi M, et al.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2;8:CD003919. doi:10.1002/14651858.CD003919.pub3.

6. Laser Trabeculoplasty Versus Argon Laser Trabeculoplasty in Patients With Open-Angle Glauc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ng W, He M, Zhou M, Zhang X.

PloS One. 2013;8(12):e84270. doi:10.1371/journal.pone.0084270.

녹내장 치료를 위한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SLT)과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성형술(ALT)의 효과 지속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SLT의 경우, 연구에 따르면 초기 치료 후 안압 감소 효과는 평균적으로 1년 동안 98%의 성공률을 보이며, 5년 후에는 89%, 10년 후에는 72%의 성공률을 유지합니다. 재치료가 필요한 시점은 평균적으로 81개월(약 6.75년)이며, 10년 동안 60%의 환자가 재치료를 필요로 합니다.[1]

ALT의 경우, 초기 치료 후 1년 동안 75% 이상의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안압 감소를 보입니다. 그러나 ALT의 장기적인 성공률은 SLT보다 낮으며, 5년 후에는 30%에서 50%의 환자가 추가적인 수술을 필요로 합니다.[2-3]

따라서, SLT의 효과는 평균적으로 6.75년 동안 지속되며, ALT의 효과는 평균적으로 1년에서 5년 동안 지속됩니다. SLT는 장기적으로 더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재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효과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 10-Year Outcomes of First-Line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 for Primary Open-Angle Glaucoma (POAG).

Ansari E.

Graefe’s Archive for Clinical and Experimental Ophthalmology = Albrecht Von Graefes Archiv Fur Klinische Und Experimentelle Ophthalmologie. 2021;259(6):1597-1604. doi:10.1007/s00417-021-05098-z.

2. Primary Open-Angle Glaucoma Preferred Practice Pattern®.

Gedde SJ, Vinod K, Wright MM, et al.

Ophthalmology. 2021;128(1):P71-P150. doi:10.1016/j.ophtha.2020.10.022.

3. Role of Argon Laser Trabeculoplasty as Primary and Secondary Therapy in Open Angle Glaucoma in Indian Patients.

Agarwal HC, Sihota R, Das C, Dada T.

The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2002;86(7):733-6. doi:10.1136/bjo.86.7.733.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과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성형술(Argon Laser Trabeculoplasty, ALT)의 장기 합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SLT:

안압 상승: SLT 후 일시적인 안압 상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4.5%에서 27%의 환자에서 보고되었습니다.[1]

전방 염증: 경미한 전방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입니다.[1]

재치료 필요성: SLT의 효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수 있으며, 10년 동안 60%의 환자가 재치료를 필요로 합니다.[2]

기타: 드물게 각막 혼탁, 지속적인 황반부종, 각막 박리 등이 보고되었습니다.[3]

ALT:

안압 상승: ALT 후 일시적인 안압 상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SLT와 유사한 빈도로 발생합니다.[1]

전방 유착: 주변 전방 유착(peripheral anterior synechiae, PAS)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32%의 환자에서 보고되었습니다.[4]

효과 감소: ALT의 장기적인 성공률은 SLT보다 낮으며, 5년 후 30%에서 50%의 환자가 추가적인 수술을 필요로 합니다.[1]

기타: 반복 ALT는 초기 ALT보다 합병증 위험이 높으며, 특히 안압 상승의 위험이 증가합니다.[1]

SLT와 ALT 모두 장기적으로 안압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지만, SLT는 부작용이 적고 재치료 시 더 나은 결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에 따르면, SLT는 장기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옵션으로 간주됩니다.[1]

1. Primary Open-Angle Glaucoma Preferred Practice Pattern®.

Gedde SJ, Vinod K, Wright MM, et al.

Ophthalmology. 2021;128(1):P71-P150. doi:10.1016/j.ophtha.2020.10.022.

2. 10-Year Outcomes of First-Line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 for Primary Open-Angle Glaucoma (POAG).

Ansari E.

Graefe’s Archive for Clinical and Experimental Ophthalmology = Albrecht Von Graefes Archiv Fur Klinische Und Experimentelle Ophthalmologie. 2021;259(6):1597-1604. doi:10.1007/s00417-021-05098-z.

3.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icacy of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in Open-Angle Glaucoma.

Wong MO, Lee JW, Choy BN, Chan JC, Lai JS.

Survey of Ophthalmology. 2015 Jan-Feb;60(1):36-50. doi:10.1016/j.survophthal.2014.06.006.

4. Laser Trabeculoplasty for Open-Angle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Rolim-de-Moura CR, Paranhos A, Loutfi M, et al.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2;8:CD003919. doi:10.1002/14651858.CD003919.pu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