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한 증상 표현
-
“무언가 떠다녀요”
-
“작은 점이나 먼지가 보여요”
-
“잠깐 왔다 갔다 해요”
-
“거미줄 같은 게 보여요”
주요 원인
-
후유리체 박리(PVD): 나이 들면서 유리체가 망막에서 떨어져 생김
-
유리체 출혈: 외상, 당뇨망막병증 등으로 망막혈관 손상 시 발생
-
유리체 석회화(Asteroid hyalosis): 칼슘·인지질 결정
-
근시: 젊은 근시 환자에서도 부유물 흔함
-
유리체 변성: 나이에 따른 콜라겐 섬유 응집
※ 드물게 망막 열공/박리의 신호일 수 있음 → 응급 안과 검진 필요
잘 생기는 사람(고위험군)
-
나이 많을수록 (노화)
-
근시 환자
-
눈 외상 경험자
-
당뇨망막병증 등 혈관질환 있는 환자
-
특정 유전적 소인
치료 방법
-
관찰: 대부분 자연 적응. 치료 안 해도 생활에 큰 지장 없음
-
유리체 절제술(PPV): 가장 확실하지만 합병증(백내장, 망막박리 등) 위험
-
Nd:YAG 레이저 유리체 용해술: 비침습적이지만 효과 제한적, 합병증 가능
치료의 부작용
-
관찰: 부작용은 없지만 증상이 계속되거나 심리적 불편 가능
-
PPV: 감염, 백내장, 망막박리, 출혈 위험
-
YAG 레이저: 안압 상승, 망막 열공, 백내장, 시력저하, 출혈
추적 검사 주기
-
급성 후유리체 박리(PVD): 초기 진단 후 6주 이내 재검
-
망막 열공 가능성 2% → 꼭 재확인 필요
-
-
망막/유리체 출혈 동반: 1~2주 간격, 필요 시 매주 초음파 확인
-
증상 없는 PVD: 초기 평가 후 2개월 → 이후 6~12개월마다
-
새로운 증상 발생 시: 즉시 내원 (섬광, 부유물 갑작스러운 증가, 시야 손실, 시력 저하)
👉 정리하면, 대부분은 경과 관찰로 충분하지만, 갑자기 심해지는 경우 즉시 안과 검진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