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증이란?
우리의 눈은 탁구공 만한 크기로 동그랗게 생겼고 동그란 모양을 유지시켜주기 위하여 눈 속에는 초자체 라는 젤리 모양의 투명한 액체가 가득 들어 있습니다. 이 초자체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혼탁이 생기거나 이물질이 나타나는 경우 망막에 그림자가 비쳐 눈앞에 무엇인가가 떠다니는 것같이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눈앞에 모기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비문증(飛蚊症)이라고 부릅니다.
비문증
날파리증이라고도 불립니다.후유리체박리증
대부분은 치료를 요하지 않는 질환이니 안심하시고 검진받으시면 됩니다.
비문증의 원인
비문증의 대부분은 특별한 원인 없이 자연 발생적이며 연령이 많아지면서 더욱 잘 생깁니다. 대부분 노화로 인해 초자체에 얼룩이 생겨 나타납니다. 나이가 듦에 따라 초자체의 일부분이 수분과 섬유질로 분리되어 초자체가 혼탁해 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섬유가 초자체 안을 둥둥 떠다니게 되고 그것이 망막에 그림자를 비추기 때문에 눈앞에서 실이 떠다니는 것 같이 보이는 것입니다.
이런 생리적인 비문증은 40세가 넘으면 나타나기 시작하여 50~60대에는 꽤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 지고, 특히 근시가 심한 사람은 청년기 이후부터 시작되기도 합니다. 그 외 망막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근시가 있는 사람, 백내장 수술 후눈 속에 출혈이나 염증을 앓는 경우에는 대부분 비문증상이 있습니다.
비문증원인?
노화나 안구변화때문에 생깁니다.비문증은 왜 생길까?
유리체 액화때문에 생기며, 이는 노화혹은 근시변화가 대부분입니다.
다만, 원인없이 생기기도 합니다.
비문증의 증상
눈 속 초자체 라는 곳에 부유물질이 생기는 것으로 숫자도 여러 개일 수 있으며 갖가지 형태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눈을 감아도 보일 수 있으며 보고자 하는 방향을 따라 다니면서 보이는데, 맑은 하늘이나 하얀 벽, 하얀 종이를 배경으로 보았을 때는 더욱 뚜렷하게 보입니다. 사선의 중심에 있는 경우도 있고 조금 옆에 위치할 수도 있습니다.
비문증 증상
날파리가 떠다니며, 시선을 따라 움직입니다.날파리증 증상
환자분들마다 호소하는 증세가 모두 다릅니다.
번쩍거림, 날파리, 찌꺼기 등이 떠다니며 밝은곳을 보면 더보입니다.
비문증의 치료
비문증상 즉 눈앞에 떠다니는 물체를 인위적으로 없앨 수는 없습니다. 떠다니는 물체가 숫자나 크기에 있어서 여러 달 동안 변화가 없다면 별로 문제가 없지만, 숫자가 갑자기 셀 수없을 정도로 커진다면 심각한 질환의 초기 증상일 수 있으므로 곧 안과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심각한 경우는 망막이 박리되는 질환으로써 떠다니는 물체의 숫자가 많아짐과 동시에 눈 속에서 번갯불이 번쩍이는 현상을 느끼게 됩니다.
눈 속에서 번갯불이 번쩍이는 증상은 편두통이 있는 경우에도 나타나며 나이가 많아지면서 자연히 발생할 수 있는 경우로서 이 증상만 갖고 서는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번갯불 증상과 동시에 반드시 눈앞에 떠다니는 물체가 많아질 때 또는 눈앞에 무엇이 가리는 것 같은 증상이 느껴질 때 주의 하셔야 합니다.
망막의 혈류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혈액순환을 좋게 해주는 약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비문증은 시력장애를 일으키는 망막박리나 포도막염, 초자체출혈등의 전구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