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빨개요?

간지러워요?

눈꼽이껴요?

옮기나요?

결막염이예요?

이런질문을 많이 합니다. 안과에 대부분 위에 증세로 오시는 분이 아주 많습니다. 외래환자의 70프로는 위의 증세를 호소합니다.

일단 결막염은 눈이 빨개지는 증세를 전체적으로 진단할떄 씁니다.

결막염 = 무조건 눈병,알러지 아닙니다.

눈병이라 불리는 질환에 대해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유행성각결막염이 뭘까??

유행성각결막염(EKC)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증상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행성각결막염(EKC):

원인: 주로 사람 아데노바이러스(HAdV) 혈청형 8, 19, 37, 53, 54, 56.[1-2]

주요 증상: 물 같은 분비물, 심한 충혈, 눈꺼풀 부종, 광선공포증, 시력 저하, 귀 앞 림프절 비대. 각막 하부 침윤(subepithelial infiltrates, SEI)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몇 달에서 몇 년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1]

특징: 각막 침범이 특징이며, 시력 저하와 같은 장기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2]

그럼 알러지는 뭘까??

알레르기성 결막염:

원인: 주로 꽃가루, 동물의 털, 먼지, 곰팡이 등 공기 중 알레르겐.[4-5]

주요 증상: 심한 가려움, 결막 부종(chemosis), 충혈, 눈물 흘림. 환자들은 주로 가려움과 불편감을 호소합니다.[4-5]

특징: 비전염성으로, 알레르겐에 대한 개인의 면역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급성, 간헐적 또는 만성 염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4-5]

EKC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전염성이 강한 반면,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알레르겐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며 전염성이 없습니다. EKC는 각막 침범이 특징이며, 장기적인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반면,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주로 가려움과 불편감을 유발합니다.

1. Mystery Eye: Human Adenovirus and the Enigma of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Jonas RA, Ung L, Rajaiya J, Chodosh J.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2020;76:100826. doi:10.1016/j.preteyeres.2019.100826.

Leading Journal

2. Adenoviral Keratoconjunctivitis.

Jhanji V, Chan TC, Li EY, Agarwal K, Vajpayee RB.

Survey of Ophthalmology. 2015 Sep-Oct;60(5):435-43. doi:10.1016/j.survophthal.2015.04.001.

3.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in India: Electronic Medical Records-Driven Big Data Analytics Report IV.

Das AV, Basu S.

The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2022;106(3):331-335. doi:10.1136/bjophthalmol-2020-317330.

4. Allergic Conjunctivitis: An Update.

Mueller A.

Handbook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2022;268:95-99. doi:10.1007/164_2021_491.

5. Diagnosing and Managing Allergic Conjunctivitis in Childhood: The Allergist’s Perspective.

Fauquert JL.

Pediatric Allergy and Immunolog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Pediatric Allergy and Immunology. 2019;30(4):405-414. doi:10.1111/pai.13035.

EKC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전염성이 강한 반면,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알레르겐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며 전염성이 없습니다. EKC는 각막 침범이 특징이며, 장기적인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반면,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주로 가려움과 불편감을 유발합니다.

감기눈병이라 불리는 병은 뭘까?

인두결막열(PCF):

• 원인 바이러스: 주로 사람 아데노바이러스(HAdV) 혈청형 3, 4, 7.

• 임상 양상: 갑작스러운 고열, 인두염, 양측 결막염, 귀 앞 림프절 비대가 특징입니다. 주로 수영장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전파되며, 급성 발병이 특징입니다.

• 전파 경로: 주로 수영장 물을 통해 전파되며, 사람 간의 직접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EKC는 각막 침범이 특징이며, 시력 저하와 같은 장기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반면, PCF는 주로 인두염과 결막염을 동반한 급성 발병이 특징입니다. 두 질환 모두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지만, 임상 양상과 전파 경로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폴로 눈병?? 다른 눈병??

급성 출혈성 결막염(AHC)

1. 엔테로바이러스 70 (Enterovirus 70, EV70): AHC는 1969년 가나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EV70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유행이 발생했습니다.[1-2]

2. 콕사키바이러스 A24 변종 (Coxsackievirus A24 variant, CV-A24v): 최근 몇 년간 여러 지역에서 AHC 유행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CV-A24v가 주요 원인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2014년 태국에서 발생한 대규모 유행과 2023년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에서 발생한 유행은 모두 CV-A24v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2-4]

이들 바이러스는 주로 사람 간의 직접 접촉이나 오염된 물체를 통해 전파되며, 급성 발병과 함께 심한 결막염과 출혈을 유발합니다. AHC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철저한 위생 관리와 감염 통제 조치가 필요합니다.

1. Identification of Coxsackievirus a-24 GIV C5 Strain as the Cause of 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Outbreak in Hyderabad, India in 2022.

Chavan NA, Rani VS, Shinde P, et al.

Heliyon. 2024;10(11):e32254. doi:10.1016/j.heliyon.2024.e32254.

New Research

2. Epidemic Outbreak of Acute Haemorrhagic Conjunctivitis Caused by Coxsackievirus A24 in Thailand, 2014.

Chansaenroj J, Vongpunsawad S, Puenpa J, et al.

Epidemiology and Infection. 2015;143(14):3087-93. doi:10.1017/S0950268815000643.

3. An Outbreak of 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Caused by Coxsackievirus A24 in Eastern Uttar Pradesh, India 2023.

Behera SP, Mishra N, Yadav R, et al.

Intervirology. 2024;67(1):106-113. doi:10.1159/000540952.

4. Re-Emergence of a Coxsackievirus A24 Variant Causing 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in Brazil From 2017 to 2018.

Sousa IP, Burlandy FM, Ferreira JL, et al.

Archives of Virology. 2019;164(4):1181-1185. doi:10.1007/s00705-019-04157-5.

AHC는 주로 엔테로바이러스와 콕사키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결막 출혈이 특징입니다. 반면, EKC는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각막 침범이 특징입니다.


눈병의 증세? 증상?

유행성각결막염(EKC)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눈의 충혈: 결막의 염증으로 인해 눈이 붉게 변합니다.[1-2]

물 같은 분비물: 눈에서 맑은 액체가 나옵니다.[1][3]

눈꺼풀 부종: 눈꺼풀이 붓고, 결막이 부풀어 오를 수 있습니다.[1-2]

이물감: 눈에 모래가 들어간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4]

빛에 대한 민감성(광선공포증): 빛에 노출될 때 눈이 아프거나 불편할 수 있습니다.[3]

시력 저하: 각막의 염증으로 인해 시력이 일시적으로 저하될 수 있습니다.[4]

전신 림프절 비대: 특히 귀 앞쪽의 림프절이 부을 수 있습니다.[1-2]

이러한 증상들은 EKC의 전형적인 임상 양상으로, 감염 초기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각막 침범이 있는 경우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1. Adenoviral Keratoconjunctivitis.

Jhanji V, Chan TC, Li EY, Agarwal K, Vajpayee RB.

Survey of Ophthalmology. 2015 Sep-Oct;60(5):435-43. doi:10.1016/j.survophthal.2015.04.001.

2.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in India: Electronic Medical Records-Driven Big Data Analytics Report IV.

Das AV, Basu S.

The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2022;106(3):331-335. doi:10.1136/bjophthalmol-2020-317330.

3. Topical Pharmacologic Interventions Versus Placebo for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Liu SH, Hawkins BS, Ng SM, et al.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2;3:CD013520. doi:10.1002/14651858.CD013520.pub2.

4. Mystery Eye: Human Adenovirus and the Enigma of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Jonas RA, Ung L, Rajaiya J, Chodosh J.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2020;76:100826. doi:10.1016/j.preteyeres.2019.100826.

눈병의 치료?

유행성각결막염(EKC)의 치료 방법은 주로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에 중점을 둡니다. 현재까지 FDA에서 승인된 항바이러스제는 없으며, 치료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1. 지지 요법: 인공눈물과 냉찜질을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권장되는 기본 치료법입니다.[1-2]

2. 포비돈-아이오딘(PVP-I): PVP-I 2% 용액을 사용한 치료가 증상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PVP-I 단독 사용 시 인공눈물보다 증상과 징후의 해소가 더 빠르게 나타났습니다.[1-3]

3. 항염증제: 국소 스테로이드(예: 덱사메타손)와의 병용 요법이 증상 완화와 각막 하부 침윤(subepithelial infiltrates, SEI)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사용 시 장기적인 부작용을 고려해야 합니다.[1-2][4]

4. 항바이러스제: 트리플루리딘과 간시클로비르와 같은 항바이러스제는 일부 연구에서 사용되었으나, 그 효과는 일관되지 않았습니다.[1][5]

5. 면역조절제: 사이클로스포린 A(CSA)와 타크로리무스는 SEI 예방에 사용될 수 있으나, 심한 안구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4]

이러한 치료법들은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각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Topical Pharmacologic Interventions Versus Placebo for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Liu SH, Hawkins BS, Ng SM, et al.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2;3:CD013520. doi:10.1002/14651858.CD013520.pub2.

2. Topical Pharmacologic Interventions Versus Active Control, Placebo, or No Treatment for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Findings From a Cochrane Systematic Review.

Liu SH, Hawkins BS, Ren M, et al.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2022;240:265-275. doi:10.1016/j.ajo.2022.03.018.

3. Treatment of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With 2% Povidone-Iodine: A Pilot Study.

Trinavarat A, Atchaneeyasakul LO.

Journal of Ocular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Ocular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012;28(1):53-8. doi:10.1089/jop.2011.0082.

4.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 With Different Treatment Regimens in Acute Adenoviral Keratoconjunctivitis.

Asena L, Şıngar Özdemir E, Burcu A, et al.

Eye (London, England). 2017;31(5):781-787. doi:10.1038/eye.2017.4.

5. A Prospective, Masked Clinical Trial of Trifluridine, Dexamethasone, and Artificial Tears in the Treatment of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Ward JB, Siojo LG, Waller SG.

Cornea. 1993;12(3):216-21. doi:10.1097/00003226-199305000-00006.

눈병의 회복기간?

유행성각결막염(EKC)의 회복 기간은 일반적으로 2주에서 4주입니다. EKC는 심한 결막염과 각막염을 동반하며, 증상은 보통 2주 내에 호전되지만, 각막 하부 침윤(subepithelial infiltrates, SEI)이 발생할 경우 회복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SEI는 몇 달에서 몇 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이는 시력 저하와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1-3]

EKC의 회복 기간은 환자의 상태와 치료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포비돈-아이오딘(PVP-I)과 같은 항바이러스제 사용 시 증상 해소가 더 빠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EKC는 대체로 자가 제한적(self-limiting)인 질환으로, 대부분의 환자는 지지 요법을 통해 회복됩니다.[4]

1. Outbreak of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Caused by Human Adenovirus Type D53 in an Eye Care Clinic – Los Angeles County, 2017.

OYong K, Killerby M, Pan CY, et al.

MMWR.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2018;67(48):1347-1349. doi:10.15585/mmwr.mm6748a4.

Leading Journal

2. Mystery Eye: Human Adenovirus and the Enigma of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Jonas RA, Ung L, Rajaiya J, Chodosh J.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2020;76:100826. doi:10.1016/j.preteyeres.2019.100826.

Leading Journal

3.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in India: Electronic Medical Records-Driven Big Data Analytics Report IV.

Das AV, Basu S.

The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2022;106(3):331-335. doi:10.1136/bjophthalmol-2020-317330.

4. Topical Pharmacologic Interventions Versus Placebo for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Liu SH, Hawkins BS, Ng SM, et al.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2;3:CD013520. doi:10.1002/14651858.CD013520.pub2.

환자들에게 권장되는 예방 조치에 대한 환자 안내문

EKC 예방 조치 안내문

유행성각결막염(EKC)은 매우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결막염입니다. 다음은 EKC 예방을 위한 권장 조치입니다:
손 씻기: 비누와 물로 자주 손을 씻으세요. 손 소독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손 씻기는 바이러스 전파를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눈을 만지지 않기: 손으로 눈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눈을 만지면 바이러스가 손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개인 위생 용품 사용: 수건, 베개, 화장품 등 개인 위생 용품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마세요. EKC는 이러한 물품을 통해 쉽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피하기: EKC에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세요.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은 바이러스 전파의 주요 원인입니다.
의료기기 소독: 안과 진료 시 사용되는 의료기기는 철저히 소독되어야 합니다. 의료기기 소독의 부적절함은 EKC 전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공공장소에서의 주의: 공공장소에서 손을 자주 씻고, 눈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공공장소에서의 접촉을 통해 EKC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증상 발생 시 즉시 진료: EKC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안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세요. 조기 진단과 치료는 증상 완화와 전파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예방 조치를 준수하면 EKC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여 EKC로부터 자신과 주변 사람들을 보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