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몽울이 잡혀요?

눈꺼풀이 아파요?

붓고 농이 나와요?

겉다래끼 속다래끼 콩다래끼?

옮겨요?

째나요?

다래끼에 대해 알아봅시다.

다래끼는 눈꺼풀에 있는 분비샘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으로,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겉다래끼 (external hordeolum)

  • 눈꺼풀 가장자리에 있는 짜이스샘이나 몰샘에 급성 화농성 염증이 생긴 것입니다.

  • 증상으로는 눈꺼풀 가장자리가 붓고 붉어지며, 만지면 통증이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염증 부위에 고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속다래끼 (internal hordeolum)

  • 눈꺼풀 안쪽에 있는 마이봄샘에 급성 화농성 염증이 생긴 것입니다.

  • 겉다래끼보다 깊은 곳에 위치하며, 눈꺼풀을 뒤집어 보면 노란 농양점이 보이기도 합니다. 초기에는 통증이 심하지 않지만, 점차 심해질 수 있습니다.

3. 콩다래끼 (chalazion, 산립종)

  • 마이봄샘의 입구가 막혀 피지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쌓여 만성적인 육아종성 염증이 생긴 것입니다.

  • 겉이나 속다래끼와 달리 통증은 거의 없으며, 눈꺼풀 아래에 단단한 콩알 같은 덩어리가 만져집니다. 붓거나 붉어지는 증상은 경미하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다래끼의 원인은 주로 세균 감염(특히 포도상구균)이며, 손으로 눈을 자주 만지거나, 스트레스, 피로, 수면 부족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되었을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치료는 대부분 저절로 낫기도 하지만, 온찜질, 항생제 안약 또는 연고, 경구 항생제 복용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콩다래끼의 경우, 크기가 크거나 불편함이 지속되면 절개하여 내용물을 제거하는 시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속다래끼와 겉다래끼의 차이점?

속다래끼(internal hordeolum)과 겉다래끼(external hordeolum)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위치:

속다래끼은 눈꺼풀의 마이봄선(Meibomian gland)에서 발생합니다. 이 선은 눈꺼풀의 타판(tarsal plate) 내에 위치해 있습니다.[1-2]

겉다래끼지스선(Zeis gland) 또는 몰선(Moll gland)과 같은 속눈썹 모낭에 연결된 피지선에서 발생합니다.[2-3]

2. 임상적 특징:

속다래끼은 눈꺼풀의 깊은 부분에 위치하여, 눈꺼풀을 통해 만져지는 통증이 있는 부종으로 나타납니다.[1-2]

겉다래끼은 눈꺼풀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국소적인 통증과 발적을 동반한 부종으로 나타납니다.[2-3]

3. 합병증:

속다래끼은 해결되지 않으면 산립종(chalazion)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눈꺼풀 전체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1-2]

겉다래끼은 일반적으로 자발적으로 배농되며, 합병증이 적습니다.[2]

이러한 차이점은 진단과 치료 접근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Non-Surgical Interventions for Acute Internal Hordeolum.

Lindsley K, Nichols JJ, Dickersin K.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1:CD007742. doi:10.1002/14651858.CD007742.pub4.

2. Acupuncture for Acute Hordeolum.

Cheng K, Law A, Guo M, et al.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2:CD011075. doi:10.1002/14651858.CD011075.pub2.

3. Multiple Recurrent Hordeola Associated With Selective IgM Deficiency.

Kiratli HK, Akar Y.

Journal of AAPOS :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2001;5(1):60-1. doi:10.1067/mpa.2001.111018.


원인은?

속다래끼(internal hordeolum)와 겉다래끼(external hordeolum)의 원인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속다래끼는 주로 마이봄선(Meibomian gland)의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이 감염은 눈꺼풀의 타르소판(tarsal plate) 내에 위치한 마이봄선의 폐쇄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해 유발됩니다.[1-2]

반면, 겉다래끼지스선(Zeis gland) 또는 몰선(Moll gland)과 같은 속눈썹 모낭에 연결된 피지선의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이 감염 역시 주로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해 유발되며, 눈꺼풀 가장자리에 국한된 염증을 일으킵니다.[2-3]

따라서, 속다래끼겉다래끼의 주요 차이점은 감염되는 눈꺼풀의 선의 종류와 위치에 있습니다.

1. Non-Surgical Interventions for Acute Internal Hordeolum.

Lindsley K, Nichols JJ, Dickersin K.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1:CD007742. doi:10.1002/14651858.CD007742.pub4.

2. Acupuncture for Acute Hordeolum.

Cheng K, Law A, Guo M, et al.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2:CD011075. doi:10.1002/14651858.CD011075.pub2.

3. Multiple Recurrent Hordeola Associated With Selective IgM Deficiency.

Kiratli HK, Akar Y.

Journal of AAPOS :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2001;5(1):60-1. doi:10.1067/mpa.2001.111018.

다래끼 예방법?

1. 눈꺼풀 위생: 눈꺼풀을 정기적으로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뜻한 물과 순한 비누를 사용하여 눈꺼풀을 세척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눈꺼풀 청결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하이포클로러스산(hypochlorous acid) 눈꺼풀 닦기 제품은 내성 다래끼의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2. 온찜질: 마이봄선의 기능을 개선하고 기름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따뜻한 압박을 정기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는 마이봄선의 막힘을 예방하여 내성 다래끼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항생제 사용: 항생제 연고나 점안액을 사용하여 눈꺼풀의 세균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항생제의 사용은 주로 감염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만 권장되며, 일반적인 예방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 눈꺼풀 마사지: 마이봄선의 기름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눈꺼풀을 부드럽게 마사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이봄선의 막힘을 예방하여 내성 다래끼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5. 건강한 생활 습관: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사, 스트레스 관리 등 전반적인 건강 관리를 통해 면역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눈꺼풀 감염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방을 위한 식이요법?

1. 오메가-3 지방산 섭취: 오메가-3 지방산은 항염증 효과가 있어 마이봄선 기능 장애(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와 관련된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생선 기름, 아마씨 기름, 호두 등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1]

2. 항산화제 섭취: 항산화제는 염증을 줄이고 면역 기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타민 C와 E, 베타카로틴, 셀레늄 등이 포함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항산화제는 과일, 채소, 견과류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2]

3. 수분 섭취: 충분한 수분 섭취는 눈의 건조를 예방하고 눈꺼풀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하루에 적절한 양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2]

4. 균형 잡힌 식사: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비타민 A, D, E, C와 같은 비타민과 아연, 셀레늄 등의 미네랄이 포함된 식단이 눈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2]

이러한 식이 요법은 다래끼의 발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Current and Emerging Therapeutic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Thode AR, Latkany RA.

Drugs. 2015;75(11):1177-85. doi:10.1007/s40265-015-0432-8.

Leading Journal

2. How to Promote and Preserve Eyelid Health.

Benitez-Del-Castillo JM.

Clinical Ophthalmology (Auckland, N.Z.). 2012;6:1689-98. doi:10.2147/OPTH.S33133.

어리면 더 다래끼가 잘생길까?

속다래끼(internal hordeolum)와 겉다래끼(external hordeolum)의 발생에 있어 특정 연령대가 더 취약한지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속다래끼와 겉다래끼 모두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정 연령대에서 더 흔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 따르면, 성인에서 Demodex 감염이 다래끼의 재발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20대에서 Demodex 감염과 재발성 다래끼의 연관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는 Demodex 감염이 성인에서 다래끼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1]

또한, 어린이에서도 다래끼가 발생할 수 있으며, 면역 결핍 상태와 같은 특정 조건이 있는 경우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택적 IgM 결핍이 있는 어린이는 다래끼의 재발이 더 흔할 수 있습니다.[2]

따라서, 성인, 특히 20대가 다래끼의 발생에 더 취약할 수 있으며, 특정 면역 결핍 상태가 있는 어린이도 다래끼 발생 위험이 높을 수 있습니다.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emodex-Associated Recurrent Hordeola: An Observational, Comparative Study.

Jun SY, Choi YJ, Lee BR, Lee SU, Kim SC.

Scientific Reports. 2021;11(1):21398. doi:10.1038/s41598-021-00599-7.

2. Multiple Recurrent Hordeola Associated With Selective IgM Deficiency.

Kiratli HK, Akar Y.

Journal of AAPOS :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2001;5(1):60-1. doi:10.1067/mpa.2001.111018.


왜 자꾸 다래끼가 생길까?

재발성 다래끼(hordeolum)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Demodex 감염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Demodex 감염은 재발성 다래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밝혀졌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재발성 다래끼 환자 중 59.5%에서 Demodex 감염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대조군의 17.5%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비율입니다. 특히, Demodex 감염은 외성 다래끼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며, 재발성 외성 다래끼 환자의 67%에서 Demodex가 발견되었습니다. Demodex folliculorum과 Demodex brevis는 각각 전방 및 후방 안검염을 유발하며, 마이봄선 기능 장애(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와 관련이 있습니다.[1-3]

또한, 재발성 다래끼의 다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있습니다:

1. 눈꺼풀 위생 부족: 눈꺼풀 청결을 유지하지 않으면 세균 감염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2. 기저 질환: 당뇨병, 피부 질환(예: 로사세아) 등은 다래끼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2]

3. 면역력 저하: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감염에 더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4. 마이봄선 기능 장애: 마이봄선의 막힘은 내성 다래끼의 발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3]

따라서, 재발성 다래끼의 예방과 치료에는 Demodex 감염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Demodex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emodex-Associated Recurrent Hordeola: An Observational, Comparative Study.

Jun SY, Choi YJ, Lee BR, Lee SU, Kim SC.

Scientific Reports. 2021;11(1):21398. doi:10.1038/s41598-021-00599-7.

2. Demodex Blephariti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Disease, Current Management, and Emerging Therapies.

Rhee MK, Yeu E, Barnett M, et al.

Eye & Contact Lens. 2023;49(8):311-318. doi:10.1097/ICL.0000000000001003.

3. Beyond the Surface: Understanding Demodex and Its Link to Blepharitis and Facial Dermatoses.

Chioveanu FG, Niculet E, Torlac C, Busila C, Tatu AL.

Clinical Ophthalmology (Auckland, N.Z.). 2024;18:1801-1810. doi:10.2147/OPTH.S440199.


더모덱스 치료법?

재발성 다래끼(hordeolum)의 치료에서 Demodex 감염의 역할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버멕틴: 이버멕틴은 국소 및 전신 투여 모두에서 Demodex 감염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국소 이버멕틴은 특히 2-3개월 동안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Demodex 감소율이 거의 100%에 달했습니다.[1]

2. 티트리 오일(Tea Tree Oil, TTO): 티트리 오일과 그 활성 성분인 테르피넨-4-올(terpinen-4-ol)은 Demodex 감염을 관리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티트리 오일은 항염증 및 항균 효과도 있어 다래끼의 재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2-3]

3. 메트로니다졸: 메트로니다졸은 국소 및 경구 투여 모두에서 Demodex 감염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특히, 이버멕틴과 병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1][4]

4. 퍼메트린: 퍼메트린은 Demodex 감염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국소적으로 적용할 때 좋은 결과를 보였습니다.[1][4]

5. 로틸라너(Lotilaner) 안약: 로틸라너는 최근 FDA 승인을 받은 약물로, Demodex 감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다래끼의 재발을 줄이는 데 유망한 치료제입니다.[5-6]

이 외에도, 눈꺼풀 위생을 철저히 유지하고, 온찜질을 통해 마이봄선의 기능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Demodex 감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재발성 다래끼의 발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Comparison of Different Anti-Demodex Strateg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i J, Wei E, Reisinger A, et al.

Dermatology (Basel, Switzerland). 2023;239(1):12-31. doi:10.1159/000526296.

2. Update on the Management of Demodex Blepharitis.

Shah PP, Stein RL, Perry HD.

Cornea. 2022;41(8):934-939. doi:10.1097/ICO.0000000000002911.

3.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Oil With Other Current Pharmacological Management in Human Demodicosis: A Systematic Review.

Lam NSK, Long XX, Li X, et al.

Parasitology. 2020;147(14):1587-1613. doi:10.1017/S003118202000150X.

4. Treatment of Demodex-Associated Inflammatory Skin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Jacob S, VanDaele MA, Brown JN.

Dermatologic Therapy. 2019;32(6):e13103. doi:10.1111/dth.13103.

5. Efficacy and Safety of Lotilaner Ophthalmic Solution (0.25%) for the Treatment of Demodex Blepharitis: A GRADE Assess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 Experimental Studies.

Talha M, Haris Ali M, Fatima E, et al.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2024;264:8-16. doi:10.1016/j.ajo.2024.03.019.

6.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in Demodex Blepharitis: A New View of Treatment From Clinical, Payer, and Patient Perspectives.

Page MR.

Journal of Managed Care & Specialty Pharmacy. 2024;30(10-a Suppl):S1-S8. doi:10.18553/jmcp.2024.30.10-a.s1.


티트리 오일은 안검염, 특히 데모덱스 모낭충으로 인한 안검염의 관리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티트리 오일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의사항:

  • 원액은 절대 눈에 직접 사용하지 마십시오. 티트리 오일 원액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반드시 희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처음 사용하는 경우, 희석된 오일이라도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소량으로 테스트 후 사용하십시오.

  • 임신 또는 수유 중인 경우 전문가와 상담 후 사용하십시오.

사용 방법:

  1. 희석: 티트리 오일은 캐리어 오일(예: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에 희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권장 희석 농도는 **2.5% ~ 5%**입니다. 예를 들어, 캐리어 오일 10ml에 티트리 오일 1~2방울을 섞는 식입니다. 시판되는 티트리 오일 아이 클렌징 제품(와이프, 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편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은 적절한 농도로 희석되어 있습니다.

  2. 적용:

  • 면봉 사용: 깨끗한 면봉에 희석된 티트리 오일을 소량 묻힙니다.

  • 눈꺼풀 가장자리 세척: 눈을 감은 상태에서 속눈썹 라인과 눈꺼풀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닦아냅니다. 눈에 직접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헹굼: 깨끗한 물로 헹궈냅니다.

티트리 오일 함유 제품 사용: 시판되는 티트리 오일 아이 와이프, 클렌징 폼, 젤 등을 제품 설명서에 따라 사용합니다.

티트리 오일 샴푸: 일부 연구에서는 티트리 오일 샴푸를 사용하여 눈꺼풀의 데모덱스 모낭충 관리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제시합니다. 이 경우, 소량의 샴푸를 눈꺼풀에 부드럽게 마사지한 후 깨끗하게 헹궈냅니다.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사용 빈도:

  • 일반적으로 하루 1~2회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증상 개선 정도에 따라 사용 빈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중요:

티트리 오일은 안검염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