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언가 떠다녀요??
무언가 보여요??
무언가 왔다갔가해요??
거미줄이 보여요??
유리체 부유물의 원인은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1. 후유리체 박리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 이는 유리체가 망막에서 분리되는 과정으로, 특히 노화와 관련이 깊습니다. PVD는 유리체의 콜라겐 섬유가 응집되어 부유물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는 유리체의 젤 상태가 액화되면서 발생합니다.[1-4]
2. 유리체 출혈 (Vitreous Hemorrhage): 망막 혈관이 손상되거나 찢어지면서 혈액이 유리체로 유입되어 부유물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외상이나 당뇨망막병증과 같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1][5]
3. 유리체 석회화 (Asteroid Hyalosis): 유리체 내에 칼슘과 인지질로 구성된 미세한 입자가 형성되어 부유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노인에서 발생하며,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6]
4. 근시 (Myopia): 근시는 유리체의 구조적 변화를 촉진하여 부유물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젊은 근시 환자에서 부유물이 더 흔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7]
5. 유리체 변성 (Vitreous Syneresis): 유리체의 콜라겐 섬유가 응집되어 부유물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는 주로 노화와 관련이 있습니다.[2][4]
이 외에도, 유리체 부유물은 망막 열공이나 망막박리와 같은 심각한 안과적 문제의 초기 증상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각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합니다.[1][8]
1.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Retinal Breaks, and Lattice Degeneration Preferred Practice Pattern®.
Flaxel CJ, Adelman RA, Bailey ST, et al.
Ophthalmology. 2020;127(1):P146-P181. doi:10.1016/j.ophtha.2019.09.027.
2. Vitreous Floaters: Etiology, Diagnostics, and Management.
Milston R, Madigan MC, Sebag J.
Survey of Ophthalmology. 2016 Mar-Apr;61(2):211-27. doi:10.1016/j.survophthal.2015.11.008.
3. Vitreous and Vision Degrading Myodesopsia.
Sebag J.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2020;79:100847. doi:10.1016/j.preteyeres.2020.100847.
Leading Journal
4. The Effects of Ag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Vitreous.
Levin M, Cohen N.
Journal of Biomechanics. 2021;119:110310. doi:10.1016/j.jbiomech.2021.110310.
5. Stardust Sign and Retinal Tear Detection on Swept 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takura H, Itakura M, Sato T.
Retina (Philadelphia, Pa.). 2022;42(2):336-339. doi:10.1097/IAE.0000000000003317.
6. Visualization and Grading of Vitreous Floaters Using Dynamic Ultra-Widefield Infrared Confoc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y: A Pilot Study.
Garcia-Aguirre G, Henaine-Berra A, Salcedo-Villanueva G.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22;11(19):5502. doi:10.3390/jcm11195502.
7. Vision Degrading Myodesopsia From Vitreous Floaters in the Young: An Important Aspect of Myopia.
Albrecht M, Auffarth GU, Friedrich M, Kessler LJ, Khoramnia R.
Survey of Ophthalmology. 2025 Mar-Apr;70(2):265-282. doi:10.1016/j.survophthal.2024.10.001.
8. Symptoms Related to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and the Risk of Developing Retinal Tears: A Systematic Review.
Gishti O, van den Nieuwenhof R, Verhoekx J, van Overdam K.
Acta Ophthalmologica. 2019;97(4):347-352. doi:10.1111/aos.14012.
어떤사람한테 비문증이 잘생기나요?
유리체 부유물의 발생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노화: 나이가 들면서 유리체의 구조적 변화와 후유리체 박리(PVD)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유리체 부유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1-2]
2. 근시: 근시는 유리체의 구조적 변화를 촉진하여 부유물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젊은 근시 환자에서 부유물이 더 흔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3-4]
3. 외상: 눈에 외상을 입은 경우 유리체 출혈이나 유리체의 구조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부유물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4. 당뇨망막병증: 당뇨병 환자는 망막 혈관의 손상으로 인해 유리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부유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1]
5. 유전적 소인: 특정 유전적 요인이 유리체의 구조적 변화를 유발하여 부유물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5]
이러한 고위험군은 유리체 부유물의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권장됩니다.
1. Vitreous Floaters: Etiology, Diagnostics, and Management.
Milston R, Madigan MC, Sebag J.
Survey of Ophthalmology. 2016 Mar-Apr;61(2):211-27. doi:10.1016/j.survophthal.2015.11.008.
2. Ageing of the Vitreous: From Acute Onset Floaters and Flashes to Retinal Detachment.
Lumi X, Hawlina M, Glavač D, et al.
Ageing Research Reviews. 2015;21:71-7. doi:10.1016/j.arr.2015.03.006.
Leading Journal
3. Vision Degrading Myodesopsia From Vitreous Floaters in the Young: An Important Aspect of Myopia.
Albrecht M, Auffarth GU, Friedrich M, Kessler LJ, Khoramnia R.
Survey of Ophthalmology. 2025 Mar-Apr;70(2):265-282. doi:10.1016/j.survophthal.2024.10.001.
4. Acute Symptomatic Vitreous Floaters Assessed With Ultra-Wide Field Scanning Laser Ophthalmoscopy and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on G, Sohn J, Kong M.
Scientific Reports. 2021;11(1):8930. doi:10.1038/s41598-021-88371-9.
5. Laser Vitreolysis for Symptomatic Floaters Is Not Yet Ready for Widespread Adoption.
Su D, Shah CP, Hsu J.
Survey of Ophthalmology. 2020 Sep – Oct;65(5):589-591. doi:10.1016/j.survophthal.2020.02.007.
비문증의 치료방법은?
유리체 부유물의 일반적인 치료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관찰: 대부분의 경우, 유리체 부유물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감소하거나 환자가 적응하게 됩니다. 따라서 초기에는 관찰이 권장됩니다.[1-2]
2. 유리체 절제술 (Pars Plana Vitrectomy, PPV): 이는 유리체 부유물을 제거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유리체를 제거하고 생리식염수로 대체하는 수술입니다. 이 방법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지만, 감염, 백내장 형성, 망막 박리와 같은 합병증의 위험이 있습니다.[1-3]
3. Nd:YAG 레이저 유리체 용해술: 이 방법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유리체 부유물을 분해하는 비침습적 치료법입니다. 성공률은 다양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증상 개선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PPV에 비해 덜 확실한 결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1][3][5]
미국 안과학회(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는 유리체 부유물의 치료에 있어 이러한 옵션들을 고려할 것을 권장합니다. 각 치료법의 선택은 환자의 증상 정도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2]
1. Management of Vitreous Floaters: A Review.
Aleman AI, Kiryakoza L, Sridhar J, Sengillo J.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4;35(5):365-368. doi:10.1097/ICU.0000000000001075.
New Research
2.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Retinal Breaks, and Lattice Degeneration Preferred Practice Pattern®.
Flaxel CJ, Adelman RA, Bailey ST, et al.
Ophthalmology. 2020;127(1):P146-P181. doi:10.1016/j.ophtha.2019.09.027.
3. Nd:YAG Laser Vitreolysis Versus Pars Plana Vitrectomy for Vitreous Floaters.
Kokavec J, Wu Z, Sherwin JC, Ang AJ, Ang G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6:CD011676. doi:10.1002/14651858.CD011676.pub2.
4. YAG Laser Vitreolysis vs Sham YAG Vitreolysis for Symptomatic Vitreous Floater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Shah CP, Heier JS.
JAMA Ophthalmology. 2017;135(9):918-923. doi:10.1001/jamaophthalmol.2017.2388.
5. Current Treatment Strategies for Symptomatic Vitreous Opacities.
Ryan EH.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1;32(3):198-202. doi:10.1097/ICU.0000000000000752.
비문증 치료의 부작용 ?
유리체 부유물의 일반적인 치료 방법인 관찰, 파스 플라나 유리체 절제술(PPV), Nd:YAG 레이저 유리체 용해술의 잠재적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찰:
• 부작용 없음: 대부분의 경우, 유리체 부유물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감소하거나 환자가 적응하게 됩니다. 따라서 관찰 자체에는 부작용이 없습니다.[1-2]
유리체 절제술(PPV):
• 감염: 수술 후 감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 백내장 형성: 수술 후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망막 박리: 망막이 분리되는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출혈: 수술 중 또는 수술 후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1-3]
Nd:YAG 레이저 유리체 용해술:
• 안압 상승: 레이저 치료 후 안압이 상승하여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망막 열공 및 박리: 레이저 치료 중 망막에 열공이 생기거나 박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백내장: 레이저 치료 후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력 저하: 레이저 치료 후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출혈: 레이저 치료 중 또는 치료 후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2-4]
이러한 부작용들은 치료 방법에 따라 다르며, 각 치료법의 선택은 환자의 증상 정도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는 이러한 치료 옵션들을 고려할 것을 권장합니다.[1]
1.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Retinal Breaks, and Lattice Degeneration Preferred Practice Pattern®.
Flaxel CJ, Adelman RA, Bailey ST, et al.
Ophthalmology. 2020;127(1):P146-P181. doi:10.1016/j.ophtha.2019.09.027.
2. Management of Vitreous Floaters: A Review.
Aleman AI, Kiryakoza L, Sridhar J, Sengillo J.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4;35(5):365-368. doi:10.1097/ICU.0000000000001075.
New Research
3. Nd:YAG Laser Vitreolysis Versus Pars Plana Vitrectomy for Vitreous Floaters.
Kokavec J, Wu Z, Sherwin JC, Ang AJ, Ang G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6:CD011676. doi:10.1002/14651858.CD011676.pub2.
4. Reported Complications Following Laser Vitreolysis.
Hahn P, Schneider EW, Tabandeh H, Wong RW, Emerson GG.
JAMA Ophthalmology. 2017;135(9):973-976. doi:10.1001/jamaophthalmol.2017.247
관찰의 부작용?
관찰 방법을 통한 유리체 부유물 치료의 잠재적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증상 지속: 유리체 부유물의 증상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감소하거나 환자가 적응할 수 있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증상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2]
• 망막 박리 위험: 유리체 부유물의 원인 중 하나인 후유리체 박리(PVD)는 망막 열공이나 망막 박리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찰 중에도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 여부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2]
• 심리적 스트레스: 지속적인 부유물로 인한 시각적 불편감은 환자에게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부유물이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에 더욱 두드러집니다.[3]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는 유리체 부유물의 관찰 방법을 권장하며, 증상이 심각하거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다른 치료 옵션을 고려할 것을 제안합니다.[2]
1. Management of Vitreous Floaters: A Review.
Aleman AI, Kiryakoza L, Sridhar J, Sengillo J.
Current Opinion in Ophthalmology. 2024;35(5):365-368. doi:10.1097/ICU.0000000000001075.
New Research
2.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Retinal Breaks, and Lattice Degeneration Preferred Practice Pattern®.
Flaxel CJ, Adelman RA, Bailey ST, et al.
Ophthalmology. 2020;127(1):P146-P181. doi:10.1016/j.ophtha.2019.09.027.
3. Vitreous Floaters: Etiology, Diagnostics, and Management.
Milston R, Madigan MC, Sebag J.
Survey of Ophthalmology. 2016 Mar-Apr;61(2):211-27. doi:10.1016/j.survophthal.2015.11.008.
얼마나 자주 병원에 가야할까?
유리체 부유물의 관찰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망막 열공, 망막 박리, 시력 저하와 같은 잠재적 위험을 고려한 환자 모니터링 빈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해야 합니다: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급성 후유리체 박리(PVD) 증상이 있는 환자는 초기 평가 후 6주 이내에 재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망막 열공 발생 가능성이 약 2%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유리체 색소, 유리체 또는 망막 출혈, 또는 가시적인 유리체-망막 견인이 있는 환자는 더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망막 출혈이 있는 환자는 출혈의 정도에 따라 1-2주 간격으로 재검사를 받아야 하며, 유리체 출혈이 있는 경우 출혈이 해결될 때까지 매주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 경우 초음파 검사를 통해 망막 열공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없는 후유리체 박리 환자는 초기 평가 후 2개월 이내에 재검사를 받고, 이후 6-12개월 간격으로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증상(예: 섬광, 부유물 증가, 주변 시야 손실, 시력 저하)이 발생한 환자는 즉시 안과 의사에게 연락하여 추가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러한 모니터링 빈도는 환자의 증상, 위험 요인, 임상 소견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